전체 글284 재난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1) 재난심리학이란? 재난 심리학을 쉽게 설명하면 재난과 인간 심리의 관계성을 주제로 한 실천적인 심리학입니다. 아주 친근한 주제를 다루는 재난심리학인데, 여기에서 다루는 영역을 조목조목 쓰면 다음과 같습니다. 재해 발생 시의 인간의 심리나 행동 재해 체험자의 심리 변화 재해 스트레스로 인한 자살 등 2차 피해 방지 지진이나 해일, 화재 등의 재해는 언제 발생할지 모르고, 비행기 사고나 철도 사고 등도 남의 일이 아닙니다. 이와 같은 재해가 발생했을 때 인간은 어떤 심리상태가 되며 어떤 행동을 하는지 규명하고 재해가 미치는 심리적인 영향 등도 연구해 나가는 것이 재해심리학입니다. 또한 재해가 일어난 후의 심리 치료도 재해 심리학의 영역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2) 재난심리학 배우면 늦게 도망가는 이유를 알.. 2022. 2. 17. 응용심리학의 종류 1. 응용심리학이란? 응용심리학이란 여러 각도의 심리학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문제 해결 등 실용적인 분야로 응용해 나가려는 심리학을 말합니다. 후술하겠지만 심리학은 널리 기초심리학과 응용심리학으로 분류됩니다. 그 중에서도 응용심리학의 위치는 마음의 메커니즘이나 원리를 과학적으로 해명하는 기초심리학을 응용해 사회에 유용하게 쓰는 학문이 됩니다. 『심리학』이라는 말이 가리키는 범위는 매우 폭넓으며, 사람의 성격이나 발달, 성장해 가는 단계를 연구하고 법칙을 밝혀 나가는 심리학부터 그 법칙에 입각하여 각 전문분야에서 보다 자세한 연구를 하는 심리학도 있습니다. 사람의 마음을 연구하는 것이 심리학이지만 그 종류나 분류하는 방식은 너무 많아서 쉽게 설명할 수 있는 일이 아닙니다. 하지만 넓은 의미에서 심리학.. 2022. 2. 15. 생리심리학이란 무엇인가? 생리심리학은 어떤 심리학이야? 생리적 반응을 조작함으로써 사람의 마음을 찾아가는 것이 생리심리학이지만 이 분야에서는 뇌의 활동을 주로 다루게 됩니다. 그것은 사람의 마음이 뇌에 존재하기 때문인데, 뇌를 다룬다는 것은 여러분들이 상상하는 것처럼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뇌라는 매우 민감한 부분을 다루는 심리학에서 기술적인 문제도 있기 때문에 생리심리학이 발전한 것은 최근에 와서입니다. 1. 생리심리학의 접근방법 생리 심리학의 접근 방법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는데,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자율 신경계와 중추 신경계의 활동을 측정하다. 뇌에 관한 기능과 기능을 측정하다. 사람의 마음이나 정신 상태는 뇌나 신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뇌와 신경은 사람의 정신상태에서 영향을 받아 반응하는데, 이는.. 2022. 2. 14. 발달 심리학이란? 발달심리학이란? 사람의 마음 발달의 원리나 법칙을 체계화 하려는 것이 발달심리학입니다. 발달심리학이라고 하면 아이의 마음 발달을 대상으로 한 심리학인 것 같기도 하지만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인간의 모든 성장 단계에서의 마음 발달에 대해서 연구합니다. 그런데 발달심리학이라는 분야가 처음 생겨났을 때 연구 대상은 아이가 어른이 되기까지의 발달 과정에 대해서였습니다. 그 것이 근년이 되고 나서, 노인이 될 때까지의 사람의 마음의 발달을 연구 대상으로 하게 되었습니다. 그것은 그때까지는 몸과 마찬가지로, 중장년 이후에는 마음의 발달은 없어져 버려 쇠퇴기로 받아들여지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근래 들어, 지혜나 인격 등 사람의 정신의 발달은 노인이 되어도 생을 마칠 때까지 쭉 계속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 2022. 2. 14. 학습심리학의 세부적 접근 행동적 접근과 인지적 접근에 대하여 학습심리학의 접근 방법에는 행동적 접근방법과 인지적 접근방법이 있습니다. 1. 행동적 접근 행동적 접근에서는 학습연구방법에서 설명한 실험법처럼 주어진 자극에 대해 어떤 행동변화가 나타나는지를 관찰하는 방법입니다. 행동이 변화하는 원인을 사고와 감정에서 찾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 접근방법에서는 관찰대상이 동물도 가능하다는 점과 객관적인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아무래도 인간의 경우에서는, 자신이 관찰 대상이라고 알면 행동의 변화에 차이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으므로, 지금까지도 학습의 연구에서는 인간 이외의 동물로의 실험이 많이 행해져 왔습니다. 또 인간은 나이를 거듭하는 것으로 한사람 한사람의 경험치가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한사람의 행동의 차이.. 2022. 2. 11. 학습심리학이란 무엇인가? 학습심리학이란? 일반적으로 학습이라고 들으면 학교에서 하는 공부를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을 텐데요, 심리학에서의 학습은 굉장히 넓은 의미를 갖습니다. 심리학에 있어서의 학습이란 '인간을 포함한 동물이 여러가지 경험을 통해서 행동을 변용시켜 가는 과정이다' 라고 정의되고 있고, 학습 심리학에서는 모든 생물의 여러가지 학습 타입이나 학습 행동을 연구해 갑니다. 즉 우리가 왜 그런 행동을 하는가? 그 기본적인 원리를 추구해 연구해 나가는 것이 학습 심리학입니다. 수많은 심리학 분야 중에서도 학습 심리학은 어렵다, 딱 벌어먹을 수도 있지만 우리의 생활과 깊이 관련되어 있는 흥미로운 것들이기도 합니다. 학습 심리학에서는, 일반적인 학교등에서의 공부를 가리키는 「학습」보다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경험에 .. 2022. 2. 11. 인격심리학에서 다루는 성격 성격은 바꿀수 있는가? 보통 사람들은 '성격은 타고났기 때문에 바꿀 수 없다'고 하지만 사실 부분적으로 자기 자신의 성격이란 바꿀 수 있습니다.이것은 사람의 성격이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라는 것을 알면 납득이 될 것입니다. 원래 사람의 성격은 타고난 부분과 환경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는 부분이 있어요. 타고난 성격의 부분을 기질이라고 부르고 그 위에 가정환경 등의 영향을 받아서 형성되는 좁은 의미에서의 성격이 있습니다그리고 그 위에는 사회에 의해서 형성된 사회적 성격이 있고 그 위에는 지금의 자신의 역할에 따른 역할 성격이 있다고 생각되고 있습니다. 각각의 설명은 후단에서 합니다만, 이러한 성격은 위에 있는 부분일수록 변하기 쉬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즉, 역할 성격 > 사회 성격 > 가정 환경 > 기.. 2022. 2. 11. 인격심리학이란 무엇인가? 인격심리학이란? 인격 심리학은 성격 심리학이나 퍼스낼리티 심리학이라고도 불리고 있습니다. 퍼스낼리티(Personality)에는 인격과 성격의 의미가 있고, 즉 인격과 성격을 연구하는 것이 인격심리학입니다. 개개인의 인격이나 성격이 다르지만 인격심리학 에서는 어디까지가 유전으로 결정되어 있는지 영유아기의 가정환경 등이 인격형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 스스로 인격을 형성하고 재탄생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연구되고 있습니다. 인격이란 구체적으로는 그 사람의 행동이나 감정에 의해 표현됩니다만, 인격 심리학에서는 이러한 행동·감정을 정중하게 관찰하는 것으로 인격의 개인차나 거기에 관련되는 인과관계에 대해 밝히려고 합니다. 사람의 개성을 파악하는 방법에 대하여 인격 심리학에서는 사람의 개성을.. 2022. 2. 10.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