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심리학과 뇌과학

by Info Ocean 2022. 2. 4.

사람의 마음의 작용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심리학」과 「뇌과학」은 빠뜨릴 수 없습니다. 뇌의 연구가 진행되어 온 것은 이 30~40년 정도가 되고 있어 계측 기기등의 진보로 평상시의 활동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심리학은 겉으로 드러나는 언동을 실마리로 마음을 이해하려고 합니다.심리테스트나 이런 걸 겪어보신 분들도 있을 거예요.질문에 망설이는 일도 자주 있지요.자신의 희망적인 회답이 되어 버리거나 반대로 지나치게 겸손해져 버리는 일이 일어납니다.

심리학에서는 왜 그런 언행을 하느냐?이러한 것을 조사하거나 여러 예를 비교 연구하거나 하여 고찰한다」라고 하는 방법입니다.

한편 뇌과학은 '뇌에 장애를 입은 사람의 언동으로부터 인지나 판단의 구조를 해명하거나 무언가에 반응했을 때의 뇌의 변화 등에서 의사결정의 구조 등을 해명'하고자 합니다.

현상면 등 외부에서 접근하는 것이 심리학이며 체내의 구조에서 접근하는 것이 뇌 과학이라고 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심리학으로 사람의 마음을 알수 있는가?
자신이나 다른 사람의 마음에 대해 알고 싶다고 하는 이유에서 심리학에 관심을 가지는 분들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심리학으로 사람의 마음을 알수 있을까?'

답은 NO 입니다.

즉, 심리학으로 사람의 마음을 읽을 수 없어요.
원래 현재의 과학도 마음과 의식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리학은 단지 마음의 문제에 접근해서 이해를 돕는 학문입니다.심리학 지식이 있고 없고는 사람에 대한 이해력이 전혀 다르겠죠. 심리학도 뇌과학도 학문이나 과학은 보편적인 것이 조건입니다.

하지만 보편적인 사실이나 법칙만으로는 개인의 마음을 헤아릴 수 없습니다. 거기에 심리상담사가 나설 차례가 있습니다.
심리 카운슬러는 개인에게 다가가서 그 배경이나 상황을 이해하려고 합니다. 

상담자 자신이 깨닫고 마음이 움직일 때, 카운슬러가 「마음」에 접근하게 됩니다.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존감의 영향  (0) 2022.02.07
자이언스 효과의 활용  (0) 2022.02.06
자이언스 효과(Zajonc effect)란 무엇인가?  (0) 2022.02.04
거울 효과(미러링 효과)란 무엇인가?  (0) 2022.02.04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0) 2022.02.04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