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정산이 다가오면 많은 직장인들이 세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각종 공제에 관심을 많이 가집니다. 그중 연금저축은 세액을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2025년 연말정산 연금저축 세액공제 기준 및 한도에 대해 쉽게 알려드리겠습니다.
연말정산 연금저축 세액공제 기준
연금저축 세액공제는 개인이 노후 대비를 위해 연금저축 상품에 납입한 금액 중 일부를 연말정산에서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제도입니다. 2024년 귀속 연말정산 기준을 알려드리니 지금부터 집중해 주시기 바랍니다.
연금저축 세액공제 한도
연금저축 세액공제 한도는 2024년 기준 연간 납입 금액 기준 최대 600만 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IRP(개인형 퇴직연금)을 포함하면 최대 900만 원까지 가능합니다. 즉, 연금저축과 IRP 납입 금액의 합계 기준으로 최대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소득 구간(과세표준)에 따른 공제율
- 총 급여 5,500만 원 이하(종합소득 4,500만 원 이하) : 납입 금액의 15%
- 예시) 총 급여 5,500만 원 이하 근로자, 연금저축 600만 원 납입 : 600만 원 × 15% = 90만 원
- 총 급여 5,500만 원 초과(종합소득 4,500만 원 초과) : 납입 금액의 12%
- 예시) 총 급여 5,500만 원 초과 근로자, 연금저축 600만 원 납입 : 600만 원 × 12% = 72만 원
- 총 급여 5,500만 원 이하(종합소득 4,500만 원 이하) : 납입 금액의 15%
연금저축 세액공제 적용 조건
연말정산 연금저축 세액공제 혜택을 받으려면 적용 조건을 꼼꼼하게 따져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입 자격, 납입 기간, 상품 종류 그리고 세액공제가 불가능한 경우를 정리해 드리니 아래에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가입 자격
- 만 18세 이상 소득이 있는 대한민국 국민
- 근로소득자 및 사업소득자
- 납입 기간
- 5년 이상(2013년 이후 납입시)
- 상품 종류
- 은행 또는 투자신탁회사의 신탁상품
- 보험회사의 보험 상품
- 우체국 보험, 수협 및 신협 조합이 취급하는 생명공제
- 증권투자회사의 연금저축 상품
- 세액공제 불가한 경우
- 연금저축 상품이 아닌 경우
- 최대 납입 한도를 초과한 금액
- 중도 해지시 당해연도 저축 납입액은 연금소득공제 불가
📌 놓치면 세금 더 내는 연말정산 꿀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