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제작 전문 기업인 빅텐츠가 코넥스에서 코스닥으로 이전 상장을 합니다. 8월 초에 먼저 상장한 기업들의 성적으로 인한 투자 심리가 어떻게 반영 될 지 궁금하실 텐데요. 이번 포스팅에서 빅텐츠 주가 전망 및 상장 정보를 알아보겠습니다.
1. 빅텐츠 주가 전망
빅텐츠가 상장 첫 날 공모가 보다 76% 높은 45,700 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청약 경쟁률이 낮았던 것에 비해 비교적 좋은 반응을 보이고 있는데요. 상장 첫 날 흥행하는 기업의 경우 공모가 보다 3 ~4배 정도 상승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상장 직후이기 때문에 당장의 성과를 보고 일희일비할 것이 아니라 조금 더 지켜보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8월에 먼저 상장한 기업의 영향은?
이는 앞서 8월 7일에 상장한 반도체 기업 ‘파두’의 영향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파두 주식은 상장 전 시총 1조 5천억 원대의 유니콘 기업으로 큰 기대를 받았지만 주가 수치는 상장 직후 부터 한동안 공모가 하단에 머물기도 했습니다. 따라서 빅텐츠주가 수요예측에서 투자자들의 투자 심리가 반영되어 수요예측에서 크게 흥행하지 못했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단기간의 성과로 기업의 성장을 판단하기에는 이릅니다. 공모가 하단을 뚫지 못했던 파두는 8월 14일 직전 거래일보다 주가가 29.97% 상승하며 상한가를 기록하고 시가총액은 1조 9,173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따라서 지금의 수요예측 경쟁률, 공모가, 상장 후의 주가로 빅텐츠의 흥행을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모기업 F&F와의 협업 시너지 효과는?
빅토리콘텐츠 회사는 모기업 F&F와의 협업으로 좋은 시너지 효과가 기대됩니다. 그렇지만 현재까지 확실한 실적으로 보여준 부분이 없다는 점이 물음표입니다. 그리고 현재 흥행하고 있는 작품이 있는데, 이후 방영될 작품도 흥행할 것이라는 보장이 없습니다.
현재 빅텐츠 드라마 중 ‘진짜가 나타났다!’가 시청률 약 20%로 흥행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드라마 콘텐츠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하거나 방송사 및 OTT에서 크게 히트를 쳤거나 히트중인 작품은 없습니다. 때문에 코스닥 상장 이후에 빠른 성장세를 보일 수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결국 빅텐츠는 상장 이후에 명확한 실적을 통해서 시장에 기업 가치를 증명해내야 하는 위치에 있습니다.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OTT 플랫폼에서의 작품 흥행, 모기업과의 사업 시너지 효과로 매출을 극대화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콘텐츠 사업의 특성상 앞으로 방영될 작품에 대한 확신이 어렵기에 투자자들에게는 더욱 애매하게 다가올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따라서 지금 당장의 실적과 주가 상승 보다는 중장기적인 관점으로 투자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전망 됩니다.
2. 빅텐츠 매출 전망
빅텐츠는 2017년에 부채 비율이 792%로 경영 상황이 악화 되며 위기를 맞이한 적이 있습니다. 이후 콘텐츠 사업 특성상 매년 들쭉날쭉한 실적을 보였습니다. 그리고 2022년 부터 대형 패션그룹인 F&F에 인수 되며 매출 및 실적이 개선되고 있습니다.
모회사인 F&F는 자본력을 바탕으로 91억 원 유상증자를 통해 신주를 취득했습니다. 그리고 144억 원 규모의 구주를 전량 매입 하며 모회사의 지분율을 50.8% 확보했습니다. 과거 792%까지 치솟았던 부채비율은 2022년 107%까지 내려오며 안정을 찾았고 이제 코스닥 상장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빅텐츠는 F&F 마케팅 유통망을 통해 글로벌 콘텐츠 시장으로 진출할 계획입니다. F&F가 확보하고 있는 패션 마케팅 유통망, 엔터테인먼트 설립, 드라마 및 영화 콘텐츠 분야가 시너지 효과를 이뤄낼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빠르게 성장중인 글로벌 OTT 시장에 진출해 오리지널 콘텐츠 매출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드라마를 지속적으로 제작하면서 OTT 플랫폼 매출, 국내 및 해외 IP 판권 매출, 그룹사 시너지를 바탕으로 상장 이후 실적 개선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3. 빅텐츠 상장 정보
빅텐츠는 2023년 8월 17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 합니다. 지난 수요예측에서 공모주 청약 경쟁률에서는 투자자들의 관심을 크게 끌진 못했습니다. 그렇지만 공모 주가 희망범위 최상단인 23,000 원으로 확정하며 상장 이후의 가능성을 보였습니다. 수요예측에 참여한 기관 중 대부분의 기관은 상단 이상의 공모가를 주문했습니다.
예상 시가총액은 660억 원 ~ 723억 원이며 이번 코스닥 상장으로 모집된 자금으로 실력 있는 작가, 감독 영입 계약금 활용, 신규 드라마 제작 투자금으로 활용할 계획입니다.
- 상장일 : 2023년 8월 17일
- 확정 공모 주가 : 23,000 원
- 예상 시가총액 : 660 ~ 723억 원
- 공모 후 주주 구성(%)
- 최대주주 등 : 58.88%
- 기존주주 : 21.28%
- 공모주주 : 14.89%
- 전문 투자자 : 2.15%
- 기타 법인 : 2.07%
- 상장 주선인 : 0.74%
공모주 투자 전 놓치면 손해보는 정보!